본문 바로가기
최신기사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없앤다니께..

by 리뷰남남 2025. 8. 12.
반응형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정부-산업계,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협력 시작

아이고 얘들아~ 정부하고 기업에서 말여.. 큰 사고 안 나게 할라고.. 8월 8일에 안전 간담회라는 걸 했단다.. 지난달에 국무회의서 그랬응께 후딱 이어서 한 거여.. 워매, 이런 일은 진작에 했어야제..

이 할미는 늘 생각하는디.. 우리 일하는 사람들 안전이 최고제.. 안 그러냐?


안전 투자는 곧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당께!

워매, 이번 간담회서 뭔 소리를 했는가 허니.. 산재연구원이 연구를 해봤는디..

사고가 덜 나야지 기업이 일도 더 잘하고 돈도 더 번다는 거여..

안전에 돈 쓰는 게 결국은 지들 이익이라는 거제.. 그려.. 돈 나가는 것만 생각하면 안 된당께..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해율이 낮을수록 기업 생산성이 높아져 안전 투자가 기업 이익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그래갖고 기업들도 즈그들끼리 AI로 뭔 이상한 낌새도 알아채고.. 안전하게 하는 좋은 방법들을 마이 갈쳐줬다는구마.. 이런 거 보이께.. 안전이란 게 돈만 나가는 게 아니고.. 기업이 새로워지고 일도 잘하게 해주는 거드라고.. 참말로 신통방통한 일이제..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혹시 너네 일하는 곳에도 이런 좋은 안전 시스템 있냐? 할미한테도 갈쳐주면 좋겠네..!


미래를 위한 안전 투자 확대 및 협력 방안이 나왔어야..

두 기관이 말여.. 간담회서 얘기한 걸 바탕으로다가.. 진짜로 변화를 만들어낼라꼬 구체적인 계획들을 냈어야.. 앞으로는 업종별로 모인 데하고.. 실무 태스크포스(TF)라는 걸 만들어서.. 안전에 돈 쓸라는데 뭔 어려운 점이 있나 찾아내서 고쳐주고.. 기업들하고 같이 안전 포럼이라는 것도 열어가꼬.. 사고 안 나게 할라고 계속 뭔가를 할라 그런단다..

요런 계획들이 중요하당께!

  • 업종별 협회·단체와 실무 태스크포스(TF) 구성: 안전 투자 관련 애로 사항 발굴 및 개선..
  • 기업과 함께 업종별 안전 포럼 개최: 기업 간 안전 노하우 공유 및 신기술 도입 논의..

이 포럼에서는 기업들끼리 안전 노하우도 갈쳐주고.. 새 기술도 들여올 건가 의논도 허고 그럴 거여.. 참말로 좋은 생각들이제.. 서로 도우면서 살아야 허는 법이여..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근디 또.. 그 아리셀 화재 사고 현장이 말여.. 지난 24일 경기도 화성서 아리셀 참사 1주기 추모제라는 걸 했는디.. 거그서 안전이 얼매나 중요한가 다시 한번 말해줬단다.. 생각만 해도 가슴이 아프제..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 할 틴디..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이 하는 말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모든 일하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 안전이 그냥 돈 나가는 게 아니라.. 꼭 해야 하는

'필수적인 투자'

라고 힘줘 말혔어야.. 잘하는 회사들 본보기로 보여줘서.. 기업들 생각도 바꿀 거라고 덧붙였는디.. 김종윤 본부장도 그랬어야..

돈 아낀다고 안전을 뒷전으로 하면 안 된다

고.. 일하다 사고 안 나는 게 노사 둘 다한테 이익이라고 강조했어야..

올해가 일하다 죽는 사고를 아예 없애는 첫해가 될라믄.. 노사하고 업종별 협회 단체들이 죄다 책임감을 갖고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말했당께.. 정부도 단단히 맘 먹었단디.. 기업하고 일하는 사람들 다 같이 해야 한다는 거제.. 서로 손 잡고 으쌰으쌰 해야지.. 안 그러믄 안 된당께..


안전한 산업 현장을 향한 결의, 다 같이 힘내자고!

잉,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하고 기업들이.. 일하다 죽는 사고를 아예 없애불자고.. 같은 목표를 다시 한번 확인했어야.. 안전은 돈 나가는 게 아니라 꼭 해야 할 투자라는 생각도 널리 퍼트리고.. 진짜루 서로 힘써서..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갈 거여.. 우리 모두의 일이고.. 우리 자식 손주들한테 물려줄 좋은 세상 만드는 일이제.. 다 같이 힘내자고!

워매, 정부랑 기업이 손잡고 중대재해..

혹시 너네가 생각하는 안전한 일터는 어떤 곳이여? 댓글로 할미한테도 알려주면 좋겠네..!


자주 묻는 질문들이여..

자주 묻는 질문들이 있네.. 뭔 말인가 한번 봐보자고..

  • Q1: 그려.. 이번 간담회는 왜 열었댜?

    A1: 아이고, 그 지난달 7월 29일에 국무회의서 그랬는디.. 산업현장 큰 사고들 아예 없앨라꼬 후속으로 한 거라네.. 기업들 안전 생각도 높이고.. 진짜 현장에서 써먹을 만한 좋은 방법들을 서로 갈쳐줄라꼬.. 8월 8일에 열었어야..

  • Q2: 안전에 돈 쓰는 게 기업들한테는 뭔 이득이 있간디?

    A2: 산재연구원이 연구를 해봤는디 말여.. 사고가 덜 나야지 기업들 일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대.. 그 말이 뭔 말이냐면.. 안전에 쓰는 돈이 그냥 나가는 돈이 아니라.. 나중에는 기업들 돈벌이하고 딱 이어지는 이득이라는 거제..

  • Q3: 앞으로 정부하고 기업들은 뭔 노력을 할라 그런다냐?

    A3: 산업통상자원부하고 고용노동부가 말여.. 업종별로 모인 데하고 실무 태스크포스(TF)라는 걸 만들어서.. 산업현장 안전에 돈 쓰는디 어려운 점이 뭔지 찾아내서 고쳐줄 예정이여.. 또 기업들하고 같이 업종별 안전 포럼도 개최하는 등.. 큰 사고 예방할라꼬 여러 가지로 계속 할 거라네.. 그래야 현장 사람들 목소리도 듣고.. 진짜로 나아지는 게 있제..

  • Q4: 일하다 죽는 사고 없앨라꼬 올해는 뭔 목표가 있댜?

    A4: 올해를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아예 없애는 첫해로 삼을라 그런대..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이 말허는디.. "돈 아낀다고 일하는 사람 안전을 뒷전으로 하면 안 된당께" 그랬어야.. 노사하고 업종별 협회 단체들이 죄다 책임감을 갖고 힘을 합쳐야지.. 이 목표를 이룰 수 있다고 단단히 부탁했어야.. 참말로 중요한 일이고.. 다 같이 노력해야 되는 일이제..

반응형